티스토리 뷰
아 용어 사전 퍼온건데 양이 너무 많아서 펼쳐야 보임 ㅋ
<The Art and Science of Digital Compositing>에서 인용함.
숫자
2:3 풀다운(2:3 pulldown): 24-fps 필름을 30fps 비디오로 전환하는 방법.
2:3 풀업(2:3 pullup): 30-fps 비디오를 24- fps 필름으로 전환하는 방법.
2D 그래픽 (2D graphics): 3D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그래픽. 따라서, 명시적인 깊이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3:2 풀다운(3:2 pulldown): 일반적으로, 2:3 풀다운의 동의어로 사용됨.
3:2 풀업(3:2 pullup): 일반적으로, 2:3 풀업의 동의어로 사용됨.
3D 그래픽(3D graphics): 컴퓨터 내에서 3차원 모델의 제작을 수반하는 컴퓨터 그래픽.
4천공(four-perf): 각 프레임이 4쌍의 천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지칭하는 표준 35mm 포맷의 별명.
8천공(eight-perf): 각 비스타비전(VistaVision) 프레임에 각 에지를 따라 8개의 천공이 나있는 사실에서 연유된 비스타비전 필름 포맷의 별명.
ㄱ
가비지 매트(garbage matte): 이미지의 기본 요소로부터 원치 않는 요소를 고립시키는 거칠고 단순한 매트.
가우스 블러(Gaussian blur): 가우스 필터에 기초한 이미지를 흐리게 하기 위한 특정 방법.
가우스 필터(Gaussian filter): 이미지의 리샘플링 시에 종종 사용되는 특정 디지털 필터.
감광유제(emulsion): 사진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 투명 베이스에 바르는 빛에 민감한 물질.
감독(director): 창의적인 프로젝트나 제작을 감독할 주 책임이 있는 사람.
감마(gamma): (1) 필름에서, 특성 곡선의 직선 부분의 경도에 기초한 이미지 또는 감광유제의 대비 측정 방식. (2) 신호에 대한 비선형 반응을 보충하기 위해 비디오 모니터에 적용되는 조정 방식. (3) 이미지의 외견상 밝기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털 효과.
게이지(gauge): 필름 게이지 참조.
겔(gel): 젤라틴 필터, 유연한 유색 광학 필터의 약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파수의 크기 및 위상으로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 변환 알고리즘. 보통 푸리에 변환도 있지만 고속이 아니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이 없다.
고역 필터(high-pass filter): 고주파수 상세를 강화하는 공간 필터.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고정 매트(fixed matte): 트래블링 매트의 상대어. 고정 매트는 쇼트 동안에 위치나 모양이 변경되지 않는다.
공간 알리아싱(spatial aliasing): 제한된 공간 해상도로 인한 아티팩트.
공간 컨벌루션(spatial convolution): 컨벌브 참조.
공간 필터(spatial filter): 화소 그룹을 봄으로써 이미지의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수정하는 방법.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의 측정치. 디지털 이미지에서 일반적으로, 공간 해상도는 화소에서 측정된 이미지의 X와 Y의 수치를 표시함으로써 지정된다.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일정 계산을 제한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결정되는(주로 직사각형) 영역. 정의역 참조.
광각 렌즈(wide-angle lens): 통상적인 경우의 초점 거리보다 짧은 렌즈. 35mm 카메라의 경우, 사람 눈이 확대되는 것을 적절히 복제하기 때문에 50mm의 초점 거리가 통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광학 프린터(optical printer):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필름 요소를 혼합하고, 이 요소들을 새로운 필름 조각 위에서 재촬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광학 합성(optical compositing): 합성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광학 프린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광학 흐름 분석(optical flow analysis): 이미지가 추출되는 전체 시퀀스를 조사함으로써 이미지에서 대상의 움직임을 절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구경(aperture): (1) 렌즈에서 빛이 통과하는 구멍의 크기(보통, f-stop 또는 t-stop 측면에서 정해짐). (2) 카메라 본체에서 각 프레임 상에 노출되는 필름 부분을 정의하는 마스크 구멍. (3)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프레임의 부분을 정의하는 마스크 구멍.
구면 렌즈(spherical lens): 촬영되는 장면의 외견상 폭-높이 관계를 변경하지 않는 렌즈. 이 렌즈는 아나모픽 렌즈와 대비된다.
구성요소(component): 화소의 색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의 하나. 대부분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화소 색은 적색, 녹색 및 청색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지정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와의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기 위해 이미지 및 기타 그래픽 요소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의 “룩 앤드 필(look and feel)”이라고도 한다.
그레이 카드(gray card): 빛이 비출 때 대체로 빛의 약 18%를 반사하도록 설계된(회색) 카드. 노출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그레이딩(grading): 컬러 타이밍의 동의어. 주로 영국에서 사용됨.
그레이스케일 이미지(grayscale image): 무색 상태에서 회색 음영만이 있는 전적으로 탈색화된 이미지.
그레인(grain): 빛에 노출 시에 이미지를 포착하는 필름 조각의 실버 할로겐의 개별 입자. 이 입자들은 분포 및 감도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특히, 투사 시에) 현저한 입상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서로 다른 미사용된 어떤 종류의 영화 필름은 서로 다른 비주얼 그레인 특성을 띠게 된다.
그린 스필(green spill): 그린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된 빛에 의한 전경 물체의 오염 상태. 스필, 블루 스필 참조.
그린스크린(greenscreen): 개념과 사용 측면에서 블루스크린(단지 녹색임)과 동일함.
기하학적 변환(geometric transformation): 특정 이미지에 대하여 화소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위치를 변경토록 만드는 영향. 이 같은 영향에는 변환, 회전, 스케일링, 워핑 및 다양한 특수 왜곡 영향이 포함된다.
ㄴ
노출 관용도(exposure latitude): 수용 가능한 결과를 보일 수 있는 한도에서 일정 종류의 필름이 허용할 수 있는 최대/최소 노출의 양.
노출 스플릿(exposure split): 넓게 발산하는 밝기 영역을 동일한 쇼트에 넣기 위해 일정 장면의 다중 노출을 결합하는 단순 스플릿 스크린 쇼트. E-스플릿이라고도 함.
노출 웨지(exposure wedge): 일정 요소의 노출에 대한 최종 값을 선택할 목적으로 해당 요소의 노출(밝기)을 점차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이미지.
노출 지수(exposure index): 빛에 대한 필름의 감광도를 지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제조업자 고유의 수치등급시스템. 그밖에 ASA 등급, ISO 지수, DIN 등급을 비롯하여 여러 산업 표준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보다 흥미로운 사실은 많은 제조업자들이 주광 조명과 텅스텐 조명에 대한 등급을 지정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농도 공간(density space): 도달된 빛의 양에 비례하여 현상된 네거티브 조각의 농도에 기초한 비선형 색 공간.
농도계(densitometer): 프로세스된 필름 조각의 광학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
눈 사이의 거리(interocular distance) : 대체로 인간 평균 약 2 1/2인치를 지칭하는 눈 사이의 간격. 입체 영상의 생산에 중요한 요소.
뉴턴 링(Newton’s rings): 이미지에 나타나는 원형 빗살 무늬 모양이 특징인 아티팩트. 주로 광학 인화에서 볼 수 있다.
ㄷ
단 초점 렌즈(short lens): 롱 렌즈의 상대어. 광각렌즈라고도 함.
대기 효과(atmosphere): 대상이 멀어질 때에 대조적으로 감소되어 보이게 하는 심도 암시.
대비(contrast): 이미지에서 가장 밝은 색조와 가장 어두운 색조의 비율.
대용품(stand-in): 부가될 새로운 요소의 색과 조명을 일치시키기 위해 나중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장면에서 촬영된 참조 객체.
더빙(dubbing): 비디오 테이프를 복제하는 것.
데시메이션(decimation): 이미지의 크기의 축소 시에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데시벨(dB): 대수 눈금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된 음의 세기 단위. 인간의 귀로는 음의 세기에서 1 dB 변경을 인지할 수 있다.
데일리즈(dailies): 전날의 작업 중 생성된 영상 또는 이번 작업을 보기 위한 미팅.
독립 해상도(resolution independence): 작업자가 임의의 많은 다양한 해상도와 함께 용이하게 작업하거나 그 가운데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특성.
동결 프레임(freeze frame): 일정 기간 동안 보류된 단일 프레임.
동적 범위(dynamic range): (1) 화면이나 이미지에서 가장 밝은 부분부터 가장 어두운 부분까지의 밝기 값의 범위. 종종 비율로 표시된다. (2) 디지털 영상의 이미지에서 서로 다른 색의 총수.
동적 해상도(dynamic resolution): 색상 해상도의 동의어.
드롭 프레임(drop frame): 열번째를 제외하고 1분마다 2개의 프레임이 드롭되는 화상 정보. 타임코드가 초당 정확히 30프레임을 작업하지만, NTSC 비디오는 29.97fps로만 작동하는 사실을 보충하기 위해 이 드롭 프레임이 사용된다.
디락 필터(Dirac filter): 임펄스 필터의 동의어.
디인터레이스(deinterlace): 비디오 영상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필드를 두 가지 별개의 이미지로 분리하는 프로세스.
디졸브(dissolve): 한 장면이 서서히 페이드 아웃 되는 동시에 다음 장면이 페이드 인 되는 특정 변환 효과. 선형 디졸브의 중앙 지점까지 양쪽 장면의 50%가 혼합되어 이미지를 이루게 된다.
디지털 합성(digital compositing): 통합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원시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조작하여 결합하는 방식.
디지털(digital): 정의가 명확한 이산(離散) 견본을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법. 아날로그의 상대어.
디지털화(digitization): 디지털 표현을 생성하기 위해 아날로그 물체를 샘플링하는 프로세스. 일반적으로, 디지털 합성의 필드 내에서, 원시 비디오 또는 필름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디코더(decoder): 복합 비디오 신호를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장치.
디터(dither): 특정 팔레트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색보다 많은 색을 나타내는 방법. 디더링은 유색 화소를 결합하고, 사람의 눈으로 이 결합을 평균하여, 그 결과를 새로운 중간 색으로 해석한다.
ㄹ
라이드 영화(ride film): 카메라 이동이 좌석이나 플랫폼의 움직임과 동조되는 특징을 지니는 영화로 로케이션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라이팅 레퍼런스(lighting reference): 장면에서 조명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용품.
랜더(render): 3D 데이터베이스에서 합성 이미지를 제작하는 프로세스.
랜더맨(RenderMan): Pixar, Inc.에 의해 제공되는 특수 랜더링 소프트웨어.
러시(rushes): 데일리즈의 동의어. 주로 영국에서 사용됨.
런 길이 부호화(RLE): 동일한 화소의 시퀀스를 단일한 데이터 표현으로 결합하는 무손실 압축 기법.
레코드(record): 필름 조각에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색에 민감한 계층 중 하나. 따라서, “청색 레코드”는 디지털 이미지의 청색 채널과 동일하다.
레터박싱(letterboxing): 원래 프레임 바깥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해 흑색을 사용하여 초기 촬영 시에 필름의 종횡비를 보존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렌즈 플레어(lens flare): 카메라의 렌즈 어셈블리에 밝은 빛이 직사되는 경우의 아티팩트.
로그 스페이스(log space): 변환함수가 로그연산 등식에 의해 산출되는 곡선과 유사한 로그연산 색 공간, 비선형 색 공간의 약어.
로크오프 카메라(locked-off camera): 위치와 렌즈 설정이 쇼트 기간 중에 변경되지 않는 카메라.
로토스코프 매트(rotoscoped matte): 로토스코프 기법을 통해 생성된 매트.
로토스코프(rotoscope): 막스 플라이셔(Max Fleischer)가 1917년에 특허를 받은 셀 애니메이션의 보조 장치의 명칭. 현재는 손에 의한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나 매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총칭하여 사용된다.
루마 키잉(luma-keying): 이미지에서 휘도 값을 이용하는 매트 추출 기법.
리샘플링(resampling): 데이터를 변환 또는 수정할 목적으로 이전에 샘플링한 데이터를 읽는 프로세스.
링잉(ringing): 이미지에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간의 지나치게 강조된 변환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아티팩트. 종종 과도한 선명화에 의해 야기된다.
ㅁ
마스크(mask): 다음 이미지에서 연산을 현상하는 일정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
마흐 밴딩(Mach banding): 눈을 통해 색 변환 영역의 강조된 에지를 인지하는 광학적 환영(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의 이름을 따서 명명함). 이 환영으로 인해 눈은 윤곽 아티팩트에 더욱 민감해진다.
망원 렌즈(telephoto lens): 통상적인 경우의 초점 거리보다 긴 렌즈. 35mm 카메라의 경우, 사람 눈이 확대되는 것을 적절히 복제하기 때문에 50mm의 초점 거리가 통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매크로(macro): (1) 디지털 영역에서, 새로운 효과를 내기 위해 그룹을 이룬 함수 또는 효과의 조합. (2)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대상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특수 렌즈.
매트 라인(matte line): 전경 요소에 현저한 윤곽이 있는 매팅 프로세스의 아티팩트.
매트 채널(matte channel): 4채널 이미지에서 알파 채널의 동의어.
매트 페인팅(matte painting): 라이브 액션 푸티지와 결합한 손으로 칠한 이미지. 일반적으로, 포토리얼리즘을 지향함.
매트(matte): 다음 이미지의 투명도를 규정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 분명한 매트, 보충하는 매트, 차이 매트, 에지 매트, 고정 매트, 가비지 매트, G-매트, 보류 매트, 로토스코프 매트, 스태틱 매트, 트래블링 매트 참조.
멀티미디어(multimedia): 광의로 분류할 경우, 일반적으로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멀티플레이닝(multiplaning): 합성에서 서로 다른 계층을 이동 카메라로부터 적정 거리의 양만큼 변환함으로써 해당 이동 카메라를 시뮬레이션 하는 기법. 보다 멀리 떨어진 것처럼 보이는 계층은 보다 가까운 계층의 양보다 적게 움직이며, 시뮬레이션 된 시차 효과가 발생된다.
명도(value): HSV 색 공간에서 적색, 녹색, 청색 구성요소의 최고치에 해당되는 값.
명세 발생기(detail generator): 추가 선명화를 포착된 이미지에 도입하는 일부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이용 가능한 조정.
모노크롬(monochrome): 단일 색조만이 포함된 이미지로 해당 색조의 휘도만을 바꿀 수 있다. 전형적으로, 모노크롬 이미지는 회색 음영만으로 이루어진다.
모션 블러(motion blur): 이미지의 포착 시에 일정 시간 동안 카메라의 셔터를 열어놓음으로써 야기되는 아티팩트. 해당 시간 동안 카메라에 대해 움직이는 대상은 이동 경로를 따라 흐리게 보인다.
모션 제어 카메라(motion-control camera): 위치, 방위 및 렌즈 설정 등의 모션이 제어되는 카메라.
모션 제어(motion control): 지속적인 반복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상의 이동을 추진하기 위해 컴퓨터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몰핑(morphing): 2개의 이미지 시퀀스가 워핑됨으로써 핵심적인 기능이 최대한 긴밀히 조정되며, 선택적인 디졸브가 처음 시퀀스에서 다음 시퀀스로 변환 시에 적용된다. 그 결과, 이 두 시퀀스 간에 무결절 변환이 이루어진다.
무손실 압축(lossless compression): 데이터의 손실없이 원래 이미지를 완전히 복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압축 및 저장하는 방법.
미첼 필터(Mitchell filter): 디지털 이미지의 리샘플링 시에 종종 사용되는 특정 디지털 필터. 미첼 필터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이는데 특히 적합하다.
ㅂ
바운스라이트(bounce light): 빛이 물체에 도달하기 전에 화면의 기타 대상으로부터 반사되거나 “되돌아오는” 빛.
바이큐빅 인터폴레이션(bicubic interpolation): 평균 16개의 가장 밀접한 이웃자리에 기초한 보간법. 선형 보간, 쌍선형 보간 참조
박스필터(Box filter): 디지털 이미지의 리샘플링 시에 종종 사용되는 특정 디지털 필터. 박스필터는 빠르지만, 질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반투명(translucent): 부분적으로 투명한 어떤 것을 가리키는 용어. 통상적으로, 블러링과 같은 이미지의 추가적 왜곡 현상을 암시한다.
배경 투사(rear projection): 전경 액션이 진행되는 가운데 뒤의 대형 불투명 스크린 위에 이전에 촬영한 배경 장면이 투사되는 복합 프로세스. 이에 따라, 합성은 인 카메라 효과로 간주된다.
배경(background): 합성에서 나머지 모든 요소들이 추가되는 바탕 요소. 일반적으로, 배경은 이미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밴딩(banding): 충분한 색상 해상도의 부족으로 인해 원활한 변환 대신에 현저한 밴드가 야기되는 색상 그레디언트의 영역에 나타나는 아티팩트로 윤곽이라고도 함. 마흐 밴딩(Mach banding) 참조.
번인(burn-in): 이전에 노출된 필름 조각 위에 놓인 요소의 사진 이중 노출.
베이스(base): 사진 필름 제작을 위해 감광유제를 바르는 투명 물질(보통, 아세트산 셀룰로오즈). 단, 이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투명하지는 않으며, 스캔 시에 보완될 필요가 있는 약간 독특한 색을 띠고 있다.
베이퍼웨어(vaporware): 개발 완료에 대한 약속이 요란하지만 아직 구현되지 않은 제품.
변환 효과(transition effect): 하나의 장면에서 다음 장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 와이프, 디졸브 참조.
변환(transformation):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변환을 지칭함.
변환(translation): 크기나 회전의 변경이 없는 상태에서의 위치 변경만을 지칭하는 기하학적 변환.
보간(interpolation): 기존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일정 규칙이나 공식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바이큐빅 인터폴레이션, 쌍선형 보간, 선형 보간 참조.
보류 매트(hold-out matte): 전경 요소가 배경 플레이트의 대상을 완전히 흐리게 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트.
보류(hold): 동일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액션을 중단시키는 것.
보색(complementary color): 백색에서 기본 색을 제하는 경우에 나오는 색.
보조색(backing color): 트래블링 매트(traveling matte) 추출용 요소를 촬영할 때에 사용되는 균일한 배경색.
보충하는 매트(complementary matte): 기본 매트가 반전되는 경우에 나오는 매트.
복합 영상(composite video): 휘도와 크로미넌스 요소가 단일 신호로 결합(부호화)되는 비디오신호.
부식(erosion): 이미지의 어두운 부분을 증가시키고 밝은 부분을 감소시키는 이미지 처리 기법.
분명한 매트(articulate matte): 모양이 되풀이하여 변경되는 매트로서 대응 대상의 윤곽선을 정확히 추적하도록 설계되었다.
불안정성(unsteadiness): 안정성의 특성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
불투명(opaque): 이미지의 뒤에 있는 모든 이미지를 완전히 흐리게 만드는 이미지의 특성. 불투명은 투명의 반대어이다.
뷰티 패스(beauty pass): 대상의 다중패스를 촬영하기 위해 모션 제어를 사용하는 경우, 뷰티 패스는 조명 패스, 섀도 패스 또는 반사 패스와 같은 기타 패스와 대조적으로 대상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정보를 특징으로 삼는다.
블루 스필(blue spill): 블루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된 빛에 의한 전경 물체의 오염 상태. 스필, 그린 스필 참조.
블루스크린 사진술(bluescreen photography): 다양한 키잉 및 색차 기법을 사용하여 대상의 매트를 추출하고자 블루스크린 앞의 대상을 촬영하는 프로세스.
블루스크린(bluescreen): (1) 블루스크린 사진술을 지칭하는 총칭 용어로 흔히 사용되며, 청색 이외에 다른 색도 사용될 수 있다. (2) 문자 그대로, 매트의 추출 대상 뒤에 현수되어 있는 일종의 청색 물질로 이루어진 스크린. 블루스크린이 완전히 균일한 블루 필드로서 카메라에 나타나는 것이 이상적이다.
비네팅(vignetting): 프레임 코너에서 이미지의 어둡고 희미한 부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또는 렌즈의 아티팩트.
비선형 색 공간(nonlinear color space): 화소의 디지털 값과 시각적 밝기의 관계가 흑색에서 백색의 전체 색 역에 걸쳐 일정하지 않은 (비선형) 색 공간
비선형 편집(nonlinear editing): 순차적 시퀀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편집.
비스타비전(Vistavision): 표준 35mm 프레임의 해상도에 비해 2배 이상의 캡처 능력을 갖추고 있고, 수직이 아닌 수평 카메라를 통해 필름을 촬영하는 특수 35mm 필름 포맷. 일반적으로, 현재에는 시각 효과 작업용으로만 사용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록 D 참조. 8천공이라고도 함.
비정방형 화소(nonsquare pixel): 폭이 높이와 동일하지 않은 화소. 폭과 높이의 비율은 화소 종횡비로 측정된다.
비트 맵 이미지(bit-mapped image): 직사각형, 2차원 배열의 화소로 구성된 이미지. 디지털 포맷에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표준 방법.
비트 심도(bit depth): 이미지에 대하여 화소의 각 구성요소에 할당된 비트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미지의 색상 해상도를 지정하는 방법.
비트(bit):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기본 단위. 비트는 0 또는 1의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다.
ㅅ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사용자와 소프트웨어의 상호 작용 방법을 전문으로 다루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부분.
사전 제작(preproduction): 실제 제작이 시작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기획, 테스트 또는 초기 설계.
상영 영화(release print): 극장 상영용으로 만드는 영화 프린트. 상영 영화는 원본 필름 상에서 여러 벌로 준비된다.
색 공간(color space): 이미지에서 색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 일반적으로, RGB, HSV 등과 같은 일정 구성요소에 기초한다.
색 정의표(look-up table): 입력 색을 출력 색으로 매핑하는 방법. 색 수정을 정의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신에 수치표를 작성하여 가능한 모든 입력 색이 정의된 출력 값을 가지도록 한다.
색 해상도(chromatic resolution): 색상 해상도의 동의어.
색상 보정(color correction): 이미지의 지각색상균형을 변경하는 프로세스.
색상 해상도(color resolution): 이미지에서 개별 색상의 값을 지정하기 위해 할당된 데이터의 양. 비트 심도 참조.
색역(gamut): 특정 장치나 포맷이 표시하거나 나타낼 수 있는 색의 범위.
색온도(color temperature): 절대 온도 스케일인 켈빈(K)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지정하는 방법. 이 색은 순 흑색 대상이 해당 온도로 가열된 경우에 방사하게 되는 빛의 색과 동일하다. 색온도가 높을수록 청색이 많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적색이 많아진다.
색조(hue): 채도 또는 값과 무관한, 색 스펙트럼으로부터의 특정 색.
색차 기법(color difference method): 매트를 추출하기 위해 이미지의 여러 채널간의 색상차를 이용하는 합성 기법. 이 기법은 블루스크린과 같은 균일한 색상 배경 앞에서 촬영되는 물체에 의존한다.
샘플링(sampling): (1) 특정 시간 증가분에 따라 신호를 읽어내는 프로세스. 디지털화 참조. (2) 화소 또는 일단의 화소로부터 색상 값을 읽어내는 프로세스.
생필름(raw stock): 노출되지 않은 미현상 필름.
서버(server): 네트워크 상에서 여러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컴퓨터.
서브 픽셀(subpixel): 단일 화소보다 큰 해상도로 작업하는 기법. 일반적으로, 주위의 여러 화소에 대한 약간의 가중된 수정이 부수된다.
선명도(sharpness): 에지가 시각적으로 가파르게 보이는 정도.
선명화(sharpening): 이미지에서 에지를 강조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프로세스. 그 결과, 이미지의 선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선형 공간(linear space): 선형 색 공간 참조.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 평균 2개의 최근 이웃자리에 기초한 보간법. 바이큐빅 인터폴레이션, 쌍선형 보간 참조.
선형 색 공간(linear color space): 화소의 디지털 값과 시각적 밝기의 관계가 흑색에서 백색의 전체 색 역에 걸쳐 일정한(선형) 색 공간.
셀 애니메이션(cel animation): 개별 클리어 아세테이트 셀에 의존한 이미지의 시퀀스의 결과에 해당되는 애니메이션. 현재, 전통적 셀 애니메이션의 많은 부분이 디지털 기법에 의해 보완되고 있다.
셔터 각(shutter angle): 일정 필름이 장면에 노출될 시간을 결정하는 영화 카메라의 일부. 대부분의 카메라는 셔터 각을 조절할 능력이 있다. 셔터 각이 클수록 움직이는 대상 위의 모션 블러는 증가된다.
셔터 속도(shutter speed): 카메라가 개별 이미지를 포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
손실 압축(lossy compression): 원래 이미지를 완전히 복구할 수 없는 방법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압축 및 저장하는 방법.
솔라리제이션(solarization): 이미지 내에서 밝기의 범위가 반전될 때에 나타나는 효과. 극도로 지나친 노출 시에 발생되는 광학적 효과를 모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쇼스캔(Showscan): 대형 포맷 네거티브와 초당 60프레임의 재생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름 캡처/영사 프로세스
쇼트(shot): 끊김이 없는 연속적인 이미지 시퀀스.
슈퍼(super): 이중 표시(superimpose)의 약어.
슈퍼35(super 35): 특정 35mm 필름 포맷.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록 D 참조.
슈퍼블랙(superblack): 일정 이미지나 장치에 대해 일반적인 흑색 표시에 못 미치는 밝기 레벨. 비디오에서 슈퍼블랙 수준은 키잉을 위해 사용된다.
슈퍼화이트(superwhite): 일정 이미지 또는 장치에 대하여 통상적인 백색 표시를 초과하는 밝기 레벨.
스캐너(scanner): 필름, 프린트물 등을 디지털화하는 장치.
스캔 라인(scan line): 디지털 이미지에서 화소의 단일 수평 줄.
스케일링(scaling):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하학적 변환. 일반적으로, 위치나 방위는 변경되진 않는다.
스코프(Scope): 시네마스코프의 약어.
스퀴즈드 이미지(squeezed image): 일그러지게 압축된 이미지.
스크린 해상도(screen resolution): 일정 화면 표시 장치가 보여줄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화소의 수. 이 해상도는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해상도와 무관해야 한다.
스킵 프레임(skip frames): 대체로 일정한 간격으로 선택된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이미지 시퀀스의 모션 속도를 배가하는 방법. 스킵 프린팅이라고도 함.
스테디 테스트(steady test): 카메라의 안정 또는 해당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안정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스테어케이싱(staircasing): 라인 또는 에지가 매끄럽지 않게 계단의 측면처럼 지그재그로 보이는 공간 알리아싱 아티팩트.
스토리보드(storyboard): 장면에서 의도된 액션을 보여주는 드로잉의 시퀀스. 장면이 촬영되기 전에 시각화 툴로 사용된다.
스톡(stock): 영화 필름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또는 특정 제조업자, 제조업자의 제품 코드 또는 해당 필름의 등급.
스톱(stop): 일정 렌즈에 이용 가능한 서로 다른 f-stop 설정으로 추적하는 노출의 측정 방법. 렌즈 위의 F-stop은 각기 연속적인 스톱이 2회 노출을 하도록 조정된다. 이에 따라, “원스톱 만큼 밝기 증가”는 밝기가 두 배가 되는 것을 뜻하며, “투스톱 만큼 감소”는 원래 밝기의 1/4이 되는 것을 뜻한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stop-motion animation): 한번에 한 프레임씩 소형 객체나 캐릭터의 촬영하고, 각 프레임간에 객체의 자세나 위치를 변경하는 애니메이션 기법. 정상 속도로 재생할 경우에 객체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스트로빙(strobing): 동이미지에서의 율동적인 플리커.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 일정 수의 제어점에 의해 정의된 연속적인 매끄러운 곡선.
스플릿 스크린(split-screen): 명료도가 적거나 아예 없는 단순한 매트를 사용하여 2가지 요소를 결합하는 기본 합성.
스필(spill): 장면에서 의도하지 않은 대상에 비추어지는 빛. 블루 스필, 그린 스필 참조
슬레이트(slate): 실제 이미지가 시작되기 전에 쇼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특정 쇼트에 관한 정보.
슬로 모션(slow motion): 투사되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필름이 촬영된 영상. 그 결과, 시퀀스는 보통의 경우보다 느리게 보이게 된다.
슬립 콤프, 슬랩 콤프(slop comp, slap comp): 기본적인 요소의 관계를 테스트하거나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우 거친 초기 합성물.
시각 효과 감독자(visual effects supervisor): 시각 효과 제작의 크리에이티브 및 기술 부문 책임자.
시각 효과 프로듀서(visual effects producer): 시각 효과 제작의 행정 부문 책임자.
시각 효과(visual effects): 표준 촬영 기법을 이용하여 캡처될 수 있는 것을 널리 지칭하는 용어. 시각 효과는 인 카메라 효과에 의해 달성되거나 서로 다른 광학적 또는 디지털 포스트프로덕션 프로세스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시각 효과는 특수 효과의 하위 범주이다.
시간 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이미지의 시퀀스를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양의 척도. 일반적으로, 시간 해상도는 시퀀스를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당 프레임의 수를 매김으로써 지정된다.
시그래프(SIGGRAPH): 미국 컴퓨터 학회(ACM)의 컴퓨터 그래픽스 분과회. 그래픽 전문가들의 주요 조직. 또한, 이 분과회가 매년 주최하는 회의는 강연과 세미나를 비롯하여 많은 대형 이벤트로 이루어진다.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 종횡비가 2.35:1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아나모픽 필름 포맷. 원래, 시네마스코프는 1950년대에 20세기 폭스 사에 의해 개발된 특정 프로세스였지만, 2.35 아나모픽 포맷을 총칭하여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오늘날, 이 용도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렌즈는 파나비전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록 D 참조.
시네온(Cineon): 영화용 특정 이미지 파일 포맷. 부록 C 참조.
시야각(field of view): 특정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장면의 범위. 일반적으로, FOV는 360도 가운데 수평의 도수로 측정된다. 단, 수직 시야각도 유효한 측정이다.
시차(parallax): 다른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대상의 위치나 공간 관계에서 인지되는 차이.
시퀀스(sequence): (1)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한 이미지의 모음. (2) 필름에서 관련된 장면의 모음. 일반적으로, 동일 시간 및 장소에서 설정된다.
실시간(real-time): (1) 최종 형태로 보여지는 것과 동일한 속도로 이미지의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 (2) 거의 순간적으로 보이는 컴퓨터 처리.
실제 효과(practical effects): 필름 촬영 후 편집을 거치지 않고 “생생하게” 이루어지는 효과. 실제 효과에는 폭발, 인공 강우, 연기 등이 포함된다.
심도 암시(depth cue): 카메라에서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정보.
심도 채널(depth channel): Z채널의 동의어.
싱크 필터(sinc filter): 디지털 이미지의 리샘플링 시에 종종 사용되는 특정 디지털 필터. 이 싱크 필터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원래보다 낮게 변환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쌍선형 보간(bilinear interpolation): 평균 4개의 가장 밀접한 이웃자리에 기초한 보간법. 선형 보간, 바이큐빅 인터폴레이션 참조.
ㅇ
아나모픽 렌즈(anamormphic lens): 원 이미지의 폭-높이 관계를 변경하는 렌즈. 필름 작업에서 가장 보편적인 아나모픽 카메라 렌즈는 수평축을 50% 압축한다. 시네마스코프 참조.
아나모픽 포맷(anamorphic format): 네거티브에 포착된 이미지가 특수 렌즈의 사용에 의해 수평으로 압착되는 것이 특징인 필름 포맷. 이 포맷은 나중에 투사 시에 해당 양만큼 비압착된다. 대부분의 35mm 장편영화 필름 작업의 경우, 투사 시에 표준 아나모픽 포맷의 종횡비는 2.35:1이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시네마스코프, 파나비전 및 부록 D 참조.
아나모픽(anamorphic): 원래 포맷으로 복귀할 경우에 일그러짐이 없어질 수 있는 왜곡된 이미지.
아날로그(analog): 이산(離散) 단계 또는 양자화없이 지속적으로 가변적인 정보/데이터. 디지털의 상대어.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for Computer Information Interchange의 약자. 매우 보편적인 영숫자 텍스트 교환 포맷으로 이 용어는 특정 프로그램의 디코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람이 다소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 포맷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지칭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아이맥스(IMAX): 초대형 포맷 네거티브를 사용하는 특허 필름 캡처/영사 프로세스.
아티팩트(artifact): 해당 이미지를 생성 또는 수정하기 위해 적용되는 프로세스의 부작용에 해당되는 이미지의(통상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
아파인(affine): 팬(pan), 회전, 크기조정, 자르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선형 기하학적 변환.
안정성(steadiness): 개별 프레임들이 서로에 대해 안정을 이루며, 프레임 대 프레임 지터 또는 바운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미지 시퀀스.
안정화(stabilization): 이미지 시퀀스로부터 바운스와 지터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안티알리아싱(antialiasing): 충분한 해상도의 부족으로 인해 야기되는 아티팩트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알고리즘(algorithm):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해진 절차 또는 일련의 지침.
알리아싱(aliasing): 해상도가 제한된 아티팩트.
알파 채널(alpha channel): 투명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4채널 이미지의 부분.
압축비(compression ratio): 비압축 요소와 압축 요소간의 데이터 크기 비율.
애니매틱(animatic): 순서의 타이밍에 관해 밑그림을 보여주는 초벌 상태의 애니메이션. 주로 이동 스토리보드.
애니메이션(animation): 프레임 단위로 제작되는 동영상. 애니메이션은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보다 전통적인 셀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애니메이터(animator): 애니메이션 제작 책임자.
애니메이티드(animated): 시간의 흐름과 동시에 변화하는 속성.
양자화 아티팩트(quantization artifact): 양자화 프로세스의 시각적으로 현저한 아티팩트를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양자화(quantization): 연속적인 아날로그 데이터 세트에서 채취한 샘플에 이산(離散) 디지털 값을 할당하는 프로세스.
양자화(quantizing): 양자화 아티팩트의 구어 표현.
얼티매트(Ultimatte): 균일 배킹의 앞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매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색차 기법에 기초한 특허 툴.
에지 검출(edge detection): 이미지에서 변환 영역 또는 “가장자리”를 강화하거나 고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에지 매트(edge matte): 대상의 윤곽이나 경계만을 포함하는 특수 매트.
에지 번호(edge numbers): 특정 프레임의 구분을 돕기 위해 제조업자에 의한 필름 조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인화되는 순차적 번호.
엔코더(encoder): (1)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를 복합 비디오 신호로 결합하는 영상 장비. (2) 일반적으로 측정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다양한 데이터 수집 장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화된 용어.
영사 속도(projection speed): 투사된 이미지의 재생 속도.
예비합성(preliminary composite): (1) 새로운 요소원으로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합성 과정 중에 생성되는 중간 이미지. (2) 요소들의 재촬영 필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사진 요소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신속히 어셈블된 합성.
오버샘플링(oversampling): 무특성 데이터에서 비롯된 샘플링의 오류나 부정확성을 완화하기 위한 보통보다 높은 해상도의 샘플링 데이터.
오버크랭크(overcranked): 보통보다 빠른 속도의 푸티지 쇼트(footage shot)를 오버크랭크 쇼트라고 한다.
오프라인 합성(off-line compositing): 일괄 합성의 동의어.
온라인 합성(on-line compositing): 모든 합성 수행의 결과를 신속히 제공하기 위해 고도의 대화식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이용하는 합성 기법. 오프라인 또는 일괄 합성 시스템과 구분됨.
옴니맥스(Omnimax): IMAX와 동일한 초대형 포맷 네거티브를 사용하는 특허 필름 캡처/영사 프로세스. 단, 옴니맥스는 돔형 스크린의 내부에서 영사된다.
와이드스크린(widescreen): 종횡비가 1.33:1을 초과하는 이미지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와이어 제거(wire removal): 일정 스턴트 또는 실제 효과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했던 바람직 하지 않은 와이어, 리그 또는 하니스를 제거하기 위해 디지털 페인팅 또는 합성 기법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총칭하는 용어.
와이프(wipe): 또 하나의 다른 장면을 대체하기 위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보이는 특정 변환효과.
완전 구경(full aperture): 특정 35mm 필름 프레이밍. 카메라 구경이라고도 함.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록 D 참조.
요소(element): 합성에 부가되는 이산(離散)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시퀀스.
워핑 엔진(warping engine): 합성 목적으로 사용되는 패키지 내에서, 기하학적 변환에 책임이 있는 코드.
워핑(warping): 일종의 스플라인 또는 그리드 기반의 제어에 종종 기반을 둔 이미지의 기하학적인 화소 당 왜곡 현상.
웜(warm): 스펙트럼의 적색 부분에 대해 편향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정확한 용어.
웨지(wedge): 색상 웨지, 노출 웨지 참조.
위브(weave): 필름 위브 참조.
위트니스 포인트(witness points): 쇼트를 촬영한 카메라의 움직임과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나중에 분석될 수 있는 장면으로 배치된 특정 객체.
유닉스(UNIX): 1960년대에 개발된 강력한 운영 체제. 비록, 뛰어난 변형 운영 체제인 리눅스(LINUX)가 PC를 포함한 여러 플랫폼에 이용될 수 있지만, 유닉스는 하이엔드 워크스테이션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
유효 해상도(working resolution): 일정 합성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해상도.
윤곽(contouring): 색상 그레디언트를 적절히 나타낼 만큼 색상 해상도가 충분치 못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아티팩트. 마크밴딩 참조.
윤곽(fringing): 전경 요소에 현저한(보통 밝은) 윤곽이 있는 매팅 프로세스의 아티팩트.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컴퓨터 내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수정하기 위해 다양한 툴과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
이중 노출(double exposure): 광학 업계에서 이중 노출은 단일 네거티브 위에 2개의 다른 이미지를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그 결과, 2개의 이미지가 혼합된다. 디지털 업계에서 이 효과는 2개의 이미지를 수학적으로 평균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중 표시(superimpose): 2개 이상의 이미지를 복합 시키는 합성 기법. 대체로 투명도와 일부 관련이 있다.
이중 프레이밍(double framing): 연속되는 이미지에서 각 프레임을 복사 및 반복하는 프로세스. 그 결과, 원래 속도의 절반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새로운 동영상이 이어진다. 이중 인화라고도 한다.
인 카메라 효과(in-camera effects): 추가 포스트프로덕션과 무관하게 원칙적으로 사진 촬영 중에만 달성되는 시각 효과.
인덱스 컬러(indexed color): 이미지 데이터의 저장 방법. 화소의 값은 색 자체의 수치 명세 대신에 이용 가능한 색 정의표의 항목을 지칭한다.
인더스트리얼 라이트 매직(Industrial Light and Magic): 특집장편영화 필름 작업에서 최초로 디지털 합성을 널리 이용한 선도적인 시각 효과 회사.
인비트위닝(in-betweening): 애니메이션 시퀀스의 키프레임 간의 삽입 프로세스.
인터레이싱(interlacing): 비디오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이에 따라, 2개의 교차 필드 이미지가 빠른 시퀀스로 표시되어 완벽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인화(print): 직접 뷰잉(viewing)이나 프로젝션에 적합한 포지티브 이미지. 일반적으로, 원본 필름에서 생성된다.
일괄 합성(batch compositing): 나중에 수행될 스크립트나 일련의 명령어의 작성이 수반되는 합성 기법.
임시 합성(temporary composite): 대체로, 최종 합성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수정될 수 있도록 장면에서 요소의 공간 및 색상의 관계를 보다 잘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유로 만들어진 대략적인 합성.
임펄스 필터(impulse filter): 디지털 이미지를 리샘플링할 때에 종종 사용되는 특정 디지털 필터. 이 필터는 통상적으로 사용 시에 최저의 질, 최고속 필터로 간주된다. 디락 필터 또는 최근이웃필터라고도 함.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ry): 각 관찰자의 왼쪽, 오른쪽 눈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내도록 의도된 영상. 이를 통해 원근감(sense of depth)이 발생된다.
ㅈ
잔상(persistence of vision): 이미지가 사라진 후에도 잠시 동안 이미지가 시각에 남아 있도록 하는 눈의 특성.
장 초점 렌즈(long lens): 단 초점 렌즈의 상대어. 망원 렌즈라고도 함.
장면(scene): (1)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 (2) 공통의 배경이나 주제를 공유하는 쇼트 모음.
재배치(reposition): 프레임 내 요소의 배치를 조정하는 프로세스.
재생 속도(playback speed): 이미지의 시퀀스가 표시되는 속도(보통, 초당 프레임으로 측정됨).
저역 필터(low-pass filter): 고주파 디테일을 제거하는 공간 필터. 이 필터는 이미지를 흐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전경(foreground): 합성에 추가되어 배경 위에 놓이는 통상적으로 기본적인 요소. 종종, 하나의 합성에 여러 전경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절차 페인트(procedural paint): 단일 프레임 대신에 이미지 시퀀스에 브러시 스트로크 및 기타 페인트 프로세스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페인트 소프트웨어.
정방형 화소(square pixel): X와 Y 치수가 동일한 화소.
정의역(domain of definition): 이미지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의 최고 경계를 정의하는(보통, 직사각형) 영역. 일반적으로, DOD 바깥의 모든 것은 이미지의 모든 채널에서 0값을 가진다. DOD는 관심 영역과는 반대로 보통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정적 매트(static matte): 고정 매트의 동의어.
제어점(control points): 곡선의 모양을 정의하기 위해 해석되는 특정 포인트.
제작 센스(production sense): 시각 효과 쇼트의 제작 시에 적절한 액션을 결정하는 노련한 디지털 아티스트의 타고난 능력.
종횡비(aspect ratio): 이미지의 폭을 높이로 나눈 결과에 해당되는 단일 수치. 폭과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들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 단위들은 나누어질 때에 단위가 없는 결과를 보이기 위해 약분되기 때문이다. 화소 종횡비 참조.
줌(zoom): (1) 실제 카메라에서, 장면의 부분을 확대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 (2) 디지털 이미지에서, 카메라 줌의 효과를 복제하기 위해 이미지 부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
중간 농도 필터(neutral density filter): 빛의 색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필터를 통과하는 빛의 강도를 줄이는 광학 필터.
중앙값 필터(median filter): 이웃 화소 그룹의 중앙값을 결정함으로써 화소 변형을 제거하는 특수 공간 필터.
ㅊ
차이 매트(difference matte):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동일 이미지로부터 물체가 존재하는 이미지를 제함으로써 발생된 매트.
착란원(circle of confusion): 렌즈가 다른 심도에 초점이 맞추어질 때에 이상적인 점이 분기되는 원의 크기. 렌즈의 초점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채널(channel): 일정 이미지에 대해, 각 화소의 단일 구성요소로부터의 값으로만 구성된 서브 이미지.
채도(saturation): 일정 색의 휘도 또는 순도. 파스텔과 순 색상 간의 차이가 채도의 양이다.
천공(perforation): 필름 조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있는 스프로겟 홀의 하나. 이 구멍들은 카메라를 통해 필름을 안정되게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초점 심도(depth of focus): 피사계 심도를 지칭하고자 할 때에 종종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용어. 초점 심도는 이미지의 초점이 제대로 맞도록 필름 조각이 위치해야 하는(카메라 본체의 내부) 렌즈 뒷면의 포인트에 대한 특정 용어이다.
초점거리(focal length): 렌즈의 중앙으로부터 필름에 이르는 거리에 기초한, 일정 렌즈의 배율의 측정 방식. 단지, 렌즈의 “거리”라고도 함. 초점 길이가 길수록 배율은 커진다.
최고 농도(maximum density): 네거티브상에서 추가적인 빛이 이미지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노출 포인트. 네거티브 대신에 프린트(리버설) 필름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에 최고 및 최저 농도의 정의는 역전된다. D-max라고도 함.
최근 이웃 필터(nearest-neighbor filter): 임펄스 필터의 동의어.
최저 농도(minimum density): 네거티브상에서 결과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데 필요한 양에 약간 못 미치는 노출 포인트. 네거티브 대신에 프린트(리버설) 필름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에 최저 및 최고 음영의 정의는 역전된다. D-min이라고도 함.
최종(final): 일단 완료되어 해당 의사결정자에 의해 승인을 받은 경우의 복합 쇼트에 주어진 용어.
ㅋ
카메라 구경(camera aperture): 특정 35mm 필름 프레이밍. 완전 구경이라고도 함.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록 D 참조.
커널(kernel): 일종의 공간 필터링을 수행할 때에 고려되는 화소 그룹. 컨벌루션 커널 참조.
커서(cursor):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위치 또는 대상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형 마커. 일반적으로, 마우스나 태블릿과 같은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컨벌루션 마스크(convolution mask): 컨벌루션 필터 참조.
컨벌루션 커널(convolution kernel): 컨벌브 연산의 수행 시에 고려되는 화소의 그룹. 일반적으로, 각 수치에서 홀수 요소를 포함하는 정방형 행렬을 이루는 커널의 크기에만 유념한다. 가장 보편적인 커널의 크기는 3 x 3이다. 때때로, 이 용어는 컨벌루션 필터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컨벌루션 필터(convolution filter): 컨벌브 연산에서 수행되는 평균 가중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의 행렬. 때때로 컨벌루션 마스크라고도 함.
컨벌브(convolve): 컨벌루션 필터를 이용하여 이웃 화소의 특수 평균을 포함하는 영상처리연산. 공간 컨벌루션이라고도 함.
컬러 웨지(color wedge): 일정 요소의 색에 대한 최종 값을 선정할 목적으로 해당 요소(또는 때때로 전체 프레임)의 색의 증분 변경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이미지.
컬러 타이머(color timer): 필름의 최종 프린트의 준비 시에 화면 대 화면 색 영속성을 조정하는 사람.
컬러 타이밍(color timing): 특정 이미지 또는 화면의 색상 균형 또는 해당 이미지나 화면의 보정 및 균형을 잡아주는 프로세스.
컴포넌트 비디오(component video): 휘도와 크로미넌스 요소가 별도로 유지되는 비디오신호.
컴퓨터 그래픽스(computer graphics):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조작되는 이미지.
컴퓨터 생성 이미지(computer-generated imagery):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조작되는 이미지. 종종,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구체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실제로 이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콘티(continuity): 다른 쇼트/장면이 다른 시간에 촬영되었거나 달리 처리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내지 않고 하나의 쇼트나 장면에서 다음 쇼트나 장면으로 이어지는 액션이나 이벤트의 원활한 흐름.
쿨(cool): 스펙트럼의 청색 부분을 향해 편향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정확한 용어.
큐칼로리스(cukaloris): 물체 위에 무늬 음영을 투사하기 위해 구멍이 불규칙적으로 나있는 패널. Kukaloris, 큐크 또는 쿠키라고도 함.
큐칼로리스(kukaloris): cukaloris 참조.
크로마 키잉(chroma-keying): 전경 또는 배경에 고유한 색상에 기초한 배경으로부터 대상을 분리하는 것을 허용하는 키잉 기법.
크로미넌스(chrominance): 색조와 채도 값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의 색상 부분. 휘도 참조.
크로핑(cropping): 특정 경계의 바깥에 있는 이미지의 일부를(고의적으로 또는 기타) 제거하는 것.
크롤링(crawling): 계속해서 불안정한 에지를 특징으로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아티팩트.
클라우드탱크(cloud tank): 구름과 기타 대기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채워진 거대한 유리 상자. 일반적으로 구름은(백색 페인트와 같은) 불투명 액체를 물속에 분사함으로써 생성된다.
클리핑(clipping): 일정 임계 위 또는 아래의 데이터가 제거되거나 소실되는(고의적 또는 기타) 프로세스. 디지털 이미지에서 클리핑은 특정 범위 이외의 색상으로 변환된다.
클립(clip): 색상, 조명 등을 참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롱 쇼트에서 “짧게 잘라진” 작은 필름 조각.
키(key): 매트의 동의어.
키스토닝(keystoning), 키스톤 왜곡(keystone distortion): 직사각형 면이 렌즈의 축과 수직을 이루지 않는 각도에서 투사 또는 촬영될 때에 발생되는 기하학적 왜곡 현상. 결과적으로, 직사각형은 사다리꼴이 된다.
키잉(keying): 배경에서 대상을 연산 기법으로 추출하여 다른 배경과 결합하는 프로세스.
키프레이밍(keyframing): 키프레임 애니매이션의 동의어.
키프레임 애니메이션(keyframe animation):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프로세스.
키프레임(keyframe): 특정 항목의 모양(크기, 위치, 색 등)이 구체적으로 정의되는 프레임. 비 키프레임(non-keyframe)의 프레임에는 보간 값이 포함된다.
ㅌ
타이밍(timing): (1) 특정 이벤트 또는 객체가 움직이거나 일정 기간에 걸쳐 전개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2) 컬러 타이밍 참조.
타임라인 그래프(timeline graph): 객체 또는 데이터 간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타임코드(time code): 비디오 테이프와 함께 사용되는 전자 색인 방법. 시간 부호는 시, 분, 초 및 프레임으로 측정된다.
탈색화(desaturation): 이미지에 대하여 색의 제거나 손실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 완전히 탈색화된 이미지는 회색 음영으로만 구성된다.
태블릿(tablet): 기존 컴퓨터 마우스보다 제어량이 큰 사용자 입력 장치. 일반적으로, 특수 펜과 함께 사용된다.
테이크(take):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특정 쇼트가 여러 번 촬영되는 경우에 각 촬영을 “테이크”라고 한다. 이러한 개념은 디지털 합성에도 적용된다. 필름이나 비디오에 보내진 각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테이크 번호”에 의해 추적된다.
테일 슬레이트(tail slate): 쇼트의 처음보다는 나중에 기록되는 슬레이트 정보. 일반적으로, 라이브 액션의 촬영 시에만 사용된다. 슬레이트 정보는 통상적인 슬레이트와 구분하기 위해 거꾸로 촬영된다.
텔레시네(telecine): 영화 필름을 비디오 포맷으로 신속히 변환하는 장치. 최신 텔레시네 장치는 HDTV 해상도의 변환 기능도 갖추고 있다. 텔레시네 장치는 필름 스캐너보다 훨씬 빠르지만, 변환된 결과의 질은 비교적 낮다.
템포랄 알리아싱(temporal aliasing): 제한된 시간 해상도로 인한 아티팩트.
템포랄(temporal): 시간 또는 되풀이하여 변경되는 것과 관련된 것.
템프 콤프(temp comp): 임시 합성(temporary composite) 참조.
투명(transparent): 어떤 이미지의 뒤에 있는 다른 이미지들이 여전히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한 이미지의 특성. 투명은 불투명의 반대어이다.
트래블링 매트(traveling matte): 되풀이하여 변경되는 매트. 정적 매트의 상대어.
트래킹(tracking):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고 해당 부분의 반복 움직임을 결정하는 프로세스.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 필름 한 조각에 떨어지는 빛과 현상된 이미지의 결과적인 농도 간의 관계를 그리는 곡선.
특수 시각 효과(special visual effects): 시각 효과 참조.
특수 효과(special effects): 실제 효과 및 시각 효과를 모두 포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
ㅍ
파나비전(Panavision): (1) 영화 제작용 렌즈와 카메라의 제조업자. (2) 파나비전 회사에 의해 개발된 특정 와이드스크린 프로세스와 렌즈의 상호. 종횡비가 2.35:1인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아나모픽 포맷이다. 아나모픽 포맷, 시네마스코프 참조.
파이프라인(pipeline): 일정 결과를 얻기 위해 정의가 명확한 일련의 프로세스.
파일 포맷(file format): 데이터 조각(예: 이미지)의 저장 방법에 대한 표준 설명.
파티클시스템(particle system): 명확한 행동 규칙을 준수하는 대다수의 대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3D 컴퓨터 그래픽 기법. 소행성 또는 새의 무리와 같은 이산(離散)된 무수한 대상을 통제하거나 불 또는 연기와 같은 자연 현상을 연출하기 위한 도구로 유용하다.
팔레트(palette): 모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색의 범위. 채널 당 8비트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1천6백만 개 이상의 색을 보유하게 된다.
팬-스캔 방식(pan and scan): 와이드스크린 필름 프로세스로 촬영한 쇼트를 그보다 폭이 적은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일반적으로, 이 방식에는 새로운 프레임에 맞추기 위해 이미지를 선별적으로 크로핑하고 불필요한 이미지의 부분을 임의로 가려내는 것이 포함된다.
퍼스펙티브 보정(perspective compensation): 3D 불일치를 교정하기 위해 2차원 기하학적 변환을 이용하는 것.
퍼스펙티브(perspective): 장면에서 대상의 크기 및 깊이의 관계에 관한 용어.
페이드(fade): 이미지의 밝기를 되풀이하여 감소시키는 것. 최종적으로 암흑 이미지가 된다.
페인트 소프트웨어(paint software): 태블릿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아티스트가 컴퓨터 내의 이미지 위에 직접 “페인트” 작업을 하는 것을 허용하는 프로그램.
페인트박스(paintbox): 비디오 포스트프로덕션 분야에서 다양한 페인트 및 합성 장치를 총칭하여 사용되는 용어.
편집(editing): 완성품을 만들기 위해 쇼트와 장면을 모아 정리하고, 그 길이와 순서에 관해 결정하는 프로세스.
평면 렌즈(flat lens): 구면 렌즈의 동의어. 때때로 렌즈의 왜곡 및 노출 편차를 측정하기 위한 상대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포맷(format): (1) 특정 이미지에 대한 크기, 해상도, 종횡비 등. (2) 특정 이미지에 대한 파일 포맷. (3) 이미지 시퀀스를 포착하거나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매체(예: 필름, 비디오 등). (4) 최초 3가지 정의의 다수의 추가 편차 및 하위 범주.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 의도적으로 밴딩을 야기하는 이미지에 적용되는 효과.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 초기 촬영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
포커스(focus): (1) 렌즈를 통한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렌즈를 조정하는 것. (2) 이러한 선명도가 발생되는 렌즈 뒷면의 포인트.
폴딩(folding): 이산(離散)수학연산을 단일 함수로 통합하는 프로세스.
표준 구경(Academy aperture): 특정 35mm 필름 프레이밍.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록 D 참조.
풀 어 매트(pull a matte): 주로 키잉 기법을 통해 대상의 매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프랙탈 압축(fractal compression): 측정되어 회전된 화소 패턴의 반복적 사용에 기초한 손실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
프레임(frame): 이동 시퀀스로 간주되고자 하는 그룹의 일부에 해당되는 단일 이미지.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interframe coding): MPEG 부호화 방식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스. 이에 따라, 시퀀스의 중간 이미지는 특정 키프레임의 편차에 의해 정의된다.
프레임률(frame rate): 일련의 이미지가 포착 또는 표시되는 속도. 프레임률은 보통 초당 프레임 또는 fps로 측정된다.
프로그레시브 스캔(progressive scan): 인터레이싱에 의존하지 않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
프로듀서(producer): 예산, 일정 등 행정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책임자.
프록시(proxy): 고해상도 실물의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축소된 이미지.
프리매트(Primatte): 균일 배킹(uniform backing) 앞에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매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허 크로마 키잉 툴.
프리멀티플라이드 이미지(premultiplied image): 적색, 녹색, 청색 채널이 매트에 의해 배가된 이미지. 통상적으로, 매트는 이 이미지의 알파 채널로서 저장된다.
프리즈(freeze): 액션을 중단하는 프로세스. 디지털 합성에서 프리즈는 대체로 일정 기간 동안 동일 프레임을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플래싱(flashing): 플래싱은 미현상된 네거티브가 해당 필름으로 최종 촬영될 장면의 콘트라스트 또는 채도를 줄일 목적으로 적은 양의 빛에 노출되는 광학 프로세스이다. 디지털 영역에서 섬광은 유사한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불특정 기법의 응용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특성의 일부가 보이는 이미지는 종종 “플래시드” 이미지로 불린다.
플랫(flat): 낮은 대비의 동의어.
플레어(flare): 광원이 카메라 렌즈 속으로 직접 들어와 이미지 위에 보이게 되는 여러 효과 중의 하나.
플레이트(plate): 합성의 요소로 사용되는 원사진 조각.
플롭(flop): 이미지가 Y-축에 대해 비추인 단순한 기하학적 변형.
플립(flip): 현재 거꾸로 위치하도록 X-축에 대해 이미지가 비추인 단순한 기하학적 변형. 이 프로세스는 이미지를 단지 180도 회전시키는 것과 다르다.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 특정 렌즈의 피사계 심도는 기본 초점 설정의 전후에 수용 가능한 초점의 범위이다. 이것은 사용된 특정 렌즈의 기능뿐 아니라 렌즈에서 기본 초점면까지의 거리 기능과 선택된 구경의 기능에도 해당된다. 구경이 클수록 피사계의 심도는 좁아지며, 구경이 작을수록 피사계의 심도는 증가된다.
필드 지배(field dominance): 인터레이싱 이미지에서 필드가 표시되는 순서. 특히, 특정 프레임에 대해 짝수 또는 홀수 필드 중 먼저 표시되는 순서를 가리킨다.
필드 차트(field chart): 프레임의 일정 영역이 격자좌표에 의해 지정될 수 있도록 이미지를 격자로 분할하는 방법.
필드(field): (1) 비디오 영상의 짝수 또는 홀수 스캔 라인으로 구성된 이미지.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2개의 피사계가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한다. (2) 필드 차트 상의 측정 단위.
필름 게이지(film gauge): 특정 필름(예: 16mm, 35mm 등)의 폭.
필름 리코더(film recorder): 디지털 이미지를 필름 네거티브 조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
필름 리코딩(film recording): 필름 리코더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네거티브 필름 조각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
필름 속도(film speed): (1) 카메라 또는 프로젝터를 통해 필름이 움직이는 속도(보통 장편특작 영화 필름의 경우, 초당 24프레임) 또는 (2) 필름 자체의 광감도를 지칭할 수 있는 문맥에 크게 좌우되는 용어. 저속 필름은 감광도가 적으며, 고속 필름은 감광도가 크다.
필름 위브(film weave): 카메라 또는 프로젝터를 통해 움직일 때에 필름 조각의(대체로 바람직하지 않은) 불규칙적 수평 운동.
필터(filter): (1) 전달되는 색을 변경하기 위해 빛이나 카메라 앞에 놓인 반투명 물질. 이 광학 필터 중 일부는 확산, 플레어 등과 같은 특정 아티팩트의 효과를 낼 수도 있다. (2) 이미지의 샘플링을 위해 컴퓨터 내에 사용되는 여러 알고리즘의 하나. 이미지의 변환 시에 서로 다른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명도나 아티팩트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3) 앞서 언급한 종류의 필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ㅎ
합성 엔진(compositing engine): 합성을 위해 사용되는 패키지 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파일 입/출력 등을 다룰 수 있는 기타 코드와 대조적으로 실제 영상 처리 연산에 책임이 있는 코드.
합성(compositing): 통합 값을 산출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소스 이미지로 조작 결합하는 것.
합성자(compositor): 합성을 실시하는 사람.
핫(hot): 너무 밝은 이미지를 가리키는 부정확한 용어. 웜, 쿨 등의 용어와 전혀 무관함.
해상도(resolution):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 이 용어는 디지털 이미지의 공간 해상도를 특히 지칭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색상 해상도, 시간 해상도 참조.
핸들(handles): 쇼트의 길이가 약간 변경될 경우, 최종 쇼트의 용도는 아니지만 합성에 포함되는 쇼트의 처음과 나중의 추가 프레임.
허프만 부호화(Huffman coding): 손실이 없는 대형 압축 스키마. 런 길이 부호화(RLE), JPEG, 및 MPEG 참조.
헤르밋 곡선(Hermite curve): 각 제어점에서 곡선의 탄젠트에 대한 명백한 지배를 허용하는 특정 유형의 스플라인 곡선.
현상 또는 프로세싱(processing): (1) 컴퓨터가 받은 명령을 수행 시에 걸리는 시간. (2) 현상소에서 사진을 현상 및 인화하는 프로세스.
화소 종횡비(pixel aspect ratio): 일정 화소의 폭을 높이로 나눈 것. 다수의 이미지 표현 방법에서는 폭과 높이가 동일한 화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화소 종횡비는 특정 이미지의 종횡비와 무관하다. 비정방형 화소 참조.
화소(picture element): 화소(pixel) 참조.
화소(pixel): 오늘날에는 “pixel”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어 있지만, 원래 “picture element”의 약어이다. 디지털 이미지는 개별 유색 포인트들의 직사각형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포인트를 화소라고 한다.
화이트 포인트(white point): (1) 필름 조각에서 불투명도가 가장 적은 부분에 측정된 농도.
(2) 디지털 이미지가 최종 형태로 보일 때에 나타나게 되는 가장 밝은 영역과 일치하는 수치 값.
화질 손상(generation loss): 반복된 복제로 인한 이미지의 질이 떨어진 것. 화질 손상은 디지털 이미지를 다룰 때에 크게 감소되며, 어떤 경우에 완전히 제거된다.
확대(dilation): 이미지의 보다 밝은 영역이 증가되는 반면에 보다 어두운 영역은 감소되는 결과를 야기한 영상 처리 기법.
확률적 샘플링(stochastic sampling): 데이터 세트의 무작위 또는 반 무작위 샘플링. 안티알리아싱, 모션 블러 등을 위해 사용된다.
확산(diffusion): 산란광(scattering of light), 고가 암영 부분 및 전체적으로 보다 부드러운 모습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로서, 렌즈 위에 놓인 대기 또는 특별 필터에 의해 야기된다.
활성 영역(active region): 블랙킹, 클로즈드 캡션, 시간 코드 등과 대립되는 개념으로서 실제 이미지 정보에 사용되는 비디오신호의 부분.
회전(rotation): 일정 축에 대해 이미지의 방위를 변경하는 기하학적 변환.
효과 애니메이션(effects animation): 셀 애니메이션 또는 디지털 로토스코프 기법을 통해 형성된 요소(캐릭터와 무관함)를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예를 들어, 불꽃, 번개, 연기 등이 포함된다.
효과 필터(effects filter): 확산, 플레어, 글로우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광학 필터. 블루스크린 요소의 촬영 시에 위험이 따른다.
휘도(luminance): 통상적으로, 명암과 동의어임. HSL 색 공간에서, 휘도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구성요소의 가중 평균에 해당된다.
흐림 마스크(unsharp masking): 원본에서 약간 흐리게 된 이미지의 추출과 관련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기법. 디지털 영역에서 뿐 아니라 사진 촬영 기법으로도 사용된다.
흑점(black point): (1) 필름 한 조각의 최대 불투명도 영역에서 측정된 농도. (2) 디지털 이미지가 최종 형태로 보일 때에 나타나게 되는 가장 어두운 영역과 일치하는 수치 값.
히스토그램 등화(histogram equalization): 이미지의 대비를 조정하여 일정 범주에 들어 맞도록 하는 이미지 현상 기법.
히스토그램 스트레칭(histogram stretching): 이미지에서 모든 화소의 값에 일정 양을 곱하는 것.
히스토그램 슬라이딩(histogram sliding): 이미지에서 모든 화소의 값에 일정 수를 더하는 것.
히스토그램(histogram): 이미지에 대하여 화소의 특성 분포(보통, 발생 빈도)를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
A
AIFF: Audio Interchange File Format의 약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표준 파일 포맷.
ASA 등급(ASA rating): 빛에 대한 필름의 감광도를 지정하기 위한 표준수치등급. “ASA”는 미국표준협회를 뜻하며, 현재 변경된 공식 명칭은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이다. 현재, 대부분의 제조업자들은 자체적인 특정 노출 지수를 사용하고 있다. DIN 등급, ISO 지수 참조.
B
BG: 배경(background)의 약어.
C
C-스코프(C-scope): 시네마스코프의 약어.
CCD: charge-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의 약어.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스캐너와 비디오 카메라에 종종 사용되는 빛에 민감한 반도체.
CGI: 컴퓨터 생성 이미지 참조.
CMY: 시안, 마젠타, 엘로우. 이 세 가지 보색 또는 이 세 가지 구성요소의 혼합에 기초한 이미지에 대하여 색상을 지정하는 방법.
CPU: 중앙처리장치. 컴퓨터의 계산 담당 중심부.
D
D-max: 최고 농도 참조.
D-min: 최저 농도 참조.
D1 포맷(D1 format):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포맷. D1은 거의 손실이 없는 포맷으로 간주된다.
D2 포맷(D2 format): 디지털 복합 영상 포맷. D2는 D1보다 질이 낮지만, 비용도 상당히 적게 든다.
D5 포맷(D5 format):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포맷. D5는 D1과 질이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며, HDTV 포맷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
DIN 등급(DIN rating): 빛에 대한 필름의 감광도를 지정하기 위한 표준수치등급. “DIN”은 Deutsche Industrie Norm(독일산업표준)의 약어이다. 현재, 대부분의 제조업자들은 자체적인 특정 노출 지수를 사용하고 있다. ASA 등급, ISO 지수 참조.
DOD: 정의역(domain of definition)의 약어.
DOF: 피사계 심도의 약어.
dpi(dots per inch): 인쇄 산업에서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 달리 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수평 및 수직 척도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DPI: dots per inch의 약어.
DVE: 디지털 비디오 효과(Digital Video Effect)의 약어. DVE는 특수 실시간 비디오 설비에 의해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다수의 기하학적 변환을 통상적으로 지칭한다. DVE의 사례에는 페이지 넘기기, 맞춤형 전환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 특유의 효과 이외에도 애니메이티드 팬, 회전 또는 플립 등이 포함된다.
DX: 이중 노출의 약어.
E
E-split: 노출 스플릿 참조.
EI: 노출 지수(exposure index)의 약어.
F
F스톱(f-stop): 렌즈의 구경의 측정 방식.
FFT: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의 약어.
FG: 전경(foreground)의 약어.
FOV: 시야각(field of view)의 약어.
fps: 초당 프레임(frames per second)의 약어. 프레임률(frame rate) 참조.
G
G-매트: 가비지 매트의 약어.
GIF: Graphics Interchange Format. 특정 이미지 파일 포맷. 부록 C 참조.
G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의 약어.
H
HDTV: 고선명 텔레비전. 공간 해상도가 표준 NTSC, PAL 또는 SECAM보다 훨씬 더 큰 새로운 텔레비전 표준안.
HLS: 색조, 휘도 및 채도. 이 3가지 구성요소의 믹스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색을 지정하는 방법.
HSB: 색조, 채도, 명암. 이 3가지 구성요소의 믹스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색을 지정하는 방법.
HSL: 색조, 채도, 밝기. 이 3가지 구성요소의 믹스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색을 지정하는 방법.
HSV: 색조, 채도, 값. 이 3가지 구성요소의 믹스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색을 지정하는 방법.
I
ILM: 인더스트리얼 라이트 매직(Industrial Light and Magic) 참조
ISO 지수(ISO index): 빛에 대한 필름의 감광도를 지정하기 위한 표준수치등급. “ISO”는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국제표준기구)를 지칭한다. 사실상, ISO 지수는 미국의 ASA 등급과 유럽의 DIN 등급을 통합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제조업자들은 자체적인 특정 노출 지수를 사용하고 있다. ASA 등급, DIN 등급 참조.
J
JPEG: 전형적으로 손실 압축 기법 또는 이러한 기법을 이용하는 특정 이미지 포맷.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약어.
L
LUT: 색 정의표의 약어.
LZW 압축(LZW compression): 이미지에 대하여 화소의 블록에서 반복적인 패턴을 발견하는 무손실 압축 방법. GIF와 TIFF를 포함한 다수의 이미지 파일 포맷에 LZW 압축의 변형이 사용된다. “LZW”는 Lemel-Ziv-Welch의 약어이다.
M
moco : 모션 제어(motion control)의 약어.
MPEG: 전형적인 손실 이미지의 시퀀스를 전문으로 다루는 압축 기법 또는 이러한 기법으로 제작된 이미지 포맷. Moving Pictures Experts Group의 약어.
N
ND 필터(ND filter): 중간 농도 필터 참조.
NG: “no good”의 약어.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약어. NTSC는 위원회 자체뿐 아니라 이 위원회가 미국과 기타 국가에서 컬러 텔레비전에 대해 설정한 표준을 가리킨다. NTSC는 525라인의 정보를 포함하고, 초당 약 30프레임(실제로 29.97)의 속도로 재생된다. 이같이 신뢰할 수 없는 색 재현 능력 때문에 종종 NTSC는 “Never The Same Color” 또는 “Never Twice the Same Color”라고도 불린다.
P
PAL: Phase alternation by line의 약어. 대부분의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의 국가들에서 사용되는 컬러 텔레비전 표준. PAL은 625라인의 해상도를 포함하고, 초당 약 25프레임의 속도로 재생된다.
perf: 천공(perforation)의 약어.
precomp: 예비 합성(preliminary composite)의 약어.
R
repo : 재배치 참조.
RGB: 적색, 녹색, 청색. 이 세가지 기본 색 또는 이 세가지 구성요소의 믹스에 기초한 이미지의 색을 지정하는 방법.
RLA: 특정 이미지 파일 포맷. 부록 C 참조.
ROI: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의 약어. 또한, 재계에서는 고용주가 현재 가장 우려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투자 수익률의 약어로도 사용됨.
RP: 배경 투사(rear projection)의 약어.
RTFM: “read the manual”의 약어. 매뉴얼을 참조하는 대신에 질문을 하는 사람에게 종종 제시되는 제안.
S
SECAM: 공식적으로는 séquentiel couleur à mémoire의 약어이지만, 대부분의 영어 사용자들은 “sequential color and memory”로 번역하여 사용한다. 프랑스,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 동유럽 국가들에서 사용되는 컬러 텔레비전의 표준. SECAM은 625라인의 해상도를 포함하고, 초당 약 25프레임의 속도로 재생된다.
SFX: 특수 효과(special effects)의 약어로 종종 사용된다. 단, 특수 효과 관계자들 간에 이러한 사용에 대해 논란이 있다.
slow-mo: 슬로 모션(slow motion)의 약어.
SMPTE: 영화텔레비전기술자협회(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의 약자.
T
t-스톱(t-stop): 렌즈 요소 자체를 통과할 때에 상실되는 빛의 양도 고려하는 렌즈 구경의 측정치.
TARGA: 특정 이미지 파일 포맷. 부록 C 참조.
TGA: TARGA 참조.
TIFF: Tagged Image File Format의 약어로 특정 이미지 파일 포맷. 부록 C 참조.
V
VFX: 시각 효과(visual effects)의 약어.
VHS: 240라인의 매우 적은 해상도를 포함하는 비디오 리코딩 포맷.
X
x: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어. “24x”는 24프레임을 표시한다.
X축(X-axis): 일반적으로, 수평축.
Y
Y축(Y-axis): 일반적으로, 수직축.
YIQ: NTSC 텔레비전용으로 사용되는 색 공간. 밝기(Y), 오렌지사이언(I), 그린마젠타(Q) 구성요소가 서로 부호화되어 있다.
Z
Z버퍼(Z-buffer): Z 심도 이미지의 동의어.
Z심도 이미지(Z-depth image): 동위 RGB 이미지에서 각 화소에 대한 상대적 심도를 지정하기 위해 각 화소의 밝기를 사용하는 특수 이미지. 이 심도는 공간에서 임의의 고정점에 대하여 또는 장면을 캡처하기 위해 사용중인 가상 카메라에 대하여 측정될 수 있다.
Z심도 합성(Z-depth compositing): 이미지의 상대적 심도 또는 카메라로부터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Z버퍼와 함께 사용하는 합성 이미지.
Z채널(Z-channel): 추가 채널로서 컬러 이미지와 통합하는 Z심도 이미지.
Z축(Z-axis): X축과 Y축의 수직을 이루는 축. 즉, 심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축이다.
출처 ; http://previzlab.springnote.com/pages/292267?prin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