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이런 방법도 가능한걸 알았으니 여러가지고 응용해봐야겠다
디자인쪽만 있는 언어인지는 모르겠는데 가끔 what , how 란 말을 듣는다. 왓 이라면 무엇을 표현하는가, 하우는 어떻게 표현하는가. 즉 왓 은 의미부여 이고 하우는 스킬을 말하는 거임. 올해 초 부터 하우는 어떻게 잡을 것인가.. 라는 고민을 자주 하는데 존경하는 권샘께서 말하시길 키워드를 찾으라고 하신다. 자신이 관심있어하던 키워드를 발견하고 그 것에 몰두한다음 그 것을 디자인과 합체!!! 시키면 그게 HOW!! 가 되는 것. 그래서 쭉--- 나의 키워드는 무엇인가--- 라고 생각하고 지내고 있다. 오늘 학교 오는길에 자주 그렇듯 햇빛에 비친 사물들이 이쁘게 쨍 하고 있길래 오- 이쁘당 캠코더로 찍고싶당- 하다가 아! 이게 내 키워드가 아닐까. 내가 평소에 좋아하는 햇빛이나 저 멀리있는 산등성을 ..
서울로 올라오는 버스 안에서 자다가 깨서 창문 밖을 보니까 하늘도 풍경도 너무 이뻤다. 계속 바라보다 보니까 보이는 대부분이 아름다워 보였고 영상의 소재로 보였다. 이래서 여행을 하는가 싶었다. 까먹을 까봐 핸드폰에 메모를 해뒀다. 여행의즐거움, 버스안에서 보는 창의 풍경, 터널안의 빛의 이동, 공기원근법의 매력, 표지판, 논밭의 사람, 원근풍경의 격차, 커튼 사이로 보이는 구름, 감성의 열폭, 저 나무엔 어떤 새와 곤충이 살고 있을까, 이 구름은 저 구름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할까, 펜스의 반짝임, 커튼의 떨림 이렇게 메모를 해놨네. 난 항상 지평선에 로망이 있다. 전라도로 가고싶다, 경비행기를 몰고 싶다, 기구를 타고 싶다, 등 의 이유는 지평선이 보고싶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까지 봐 온 한국의 풍경은..